환경 : 리눅스 ( ubuntu server 12.04 )
1. 다운
http://www.elasticsearch.org/download/
에서 elasticsearch 최신 버전(2014.02.11 현재 0.90.11 버전) 의 TAR.GZ 파일의 링크 주소 복사
복사된 주소를 통해 리눅스에서 wget을 이용해 다운로드
wget https://download.elasticsearch.org/elasticsearch/elasticsearch/elasticsearch-0.90.11.tar.gz
2. 압축해제
tar xvfz elasticsearch-0.90.11.tar.gz
3. 설정
1) config 디렉토리의 elasticsearch.yml 편집
cluster.name: my_elasticsearch // 클러스터 명을 본인이 사용할 유니크한 이름으로 바꿔준다
bootstrap.mlockall: true // JVM이 swapping을 할 때 elasticsearch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. 따라서 스왑이 일어나지 않게하려면 true로 준다(기본 false)
// 여기서 true로 설정을 했다면 bin/elasticsearch.in.sh에서 ES_MIN_MEM 과 ES_MAX_MEM을 같게 설정해주어야 한다.
discovery.zen.ping.multicast.enabled: false // 기본으로 Multicast가 활성화 되어있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선 unicast방식을 추천한다고 한다.
discovery.zen.ping.unicast.hosts: ["host1", "host2:port"] // unicast를 쓰기위해선 내가 사용할 호스트들을 입력해주어야 한다.
2) bin/elasticsearch.in.sh 편집
위에서 bootstrap.mlockall: true로 설정해주엇다면
여기서 ES_MIN_MEM과 ES_MAX_MEM을 같은 값으로 설정해주어야한다.
(1GB로 설정한 것)
4. 유용한 plugin들 설치
bin/plugin --install mobz/elasticsearch-head
bin/plugin --install lukas-vlcek/bigdesk //여기까지 두개는 거의 기본적으로 사용
bin/plugin --install elasticsearch/marvel/latest // 최근에 나온 모니터링 plugin , 좋다!!
5. 실행
bin/elsticsearch -f // -f 옵션은 foreground에서 실행한다는 의미! 아무 옵션을 안주면 background에서 실행된다.
6. 실행 확인
curl -XPOST 'localhost:9200' // 실행하는 곳이 같은 로컬이라면 이와 같이, 원격이라면 localhost부분에 해당 ip주소를 써주면 된다.
// 명령어 실행 후 위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것이다!!!!
자 이제 ElasticSearch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되었다!!!!!
[출처] 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 설치하기|작성자 제렘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archinitus/80207182987
'E.L.K(데이터 분석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라스틱서치, 로그스태시, 키바나 (0) | 2015.08.20 |
---|---|
루씬(Lucene)이란? (0) | 2015.08.20 |
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란? (0) | 2015.08.20 |